1. 자유이용권은 Free Ticket 이라고 사용할 것 같지만? 아니다!

   a day pass 라고 표현해야 올바른 표현이다.


2. 약을 먹을때는 take 음식은 eat 음료는 drink! 

    그냥 저냥 통용이 가능한 표현은 have 가 있다.

     

   ex)  I have breakfast. 


3. 생각에 대한 부정을 말할때는 주의하자.

   I think I cannot go there (x) 틀린표현이다

   I don't think I can go (o) 맞는 표현이다


4. Do you think? ~라고 생각해?

   Don't you think?  ~라고 생각하지 않아?

   미묘하지만 다른 표현이다.


5. ~ 하기 위해서는 항상 for 이 답은 아니다.

   목적의 의미를 가진 to 부정사가 더 적절하다.

    ex) I go home to rest. (o)


6. 사물의 용도를 나타낼때는 for + ~ing 형태를 사용한다.

   What is that for?

   That medicine is for treating care.


7. go는 가다의 자동사이다. 어느 장소를 갔는지 밝힐때는 to를 함께 써야한다.

   I wen to Seoul.  하지만 go home에서 home은 이미 to 의미를 함께 가지기에 쓰지 않는다.


8. 전치사를 써야할 것 같지만, 쓰면 안되는 동사들

   1) attend : I don't want to attend the meeting

   2) discuss : I discussed our dream

   3) email : I forgot to email you

   4) enter : I enter the room

   5) mention : did you mention something?

   6) obey : Why doesn't students obey teacher?

   7) reach : we finally reached Seoul station.

   8) resemble : you resemble your father.

   9) phone : why don't you phone her?



9. 무슨일이 일어 났어.  = Something was happened. (X)

   Something happened to me. (o)


10. 수동태로 착가하기 쉬운 동사들. 이들은 수동태로 사용할수 없다.

   apply 적용되다.   exist 존재하다.    occur  무슨일이 발생하다.








IEEE GLOBECOM 2016

#IEEEGC16: Freedom through Communications

4-8 December 2016 // Washington, DC USA



'Bookmark > Confer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 DGIF  (0) 2013.11.04
한국통신학회  (1) 2013.06.04
Mobicom  (0) 2013.04.24

 결론부터 말하자면, 당신이 글을 잘 쓰고 싶고 당장 논리적인 혹은 학술적인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논문을 작성하게 되는 (나를 포함한) 대학원생 석사/박사 학생들은 항상 글쓰기에 대한 압박감과 공포(?)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매주 반복되는 논문을 위한 개별 미팅과 단체미팅 그리고 실적을 위한? 또는 졸업을 위해서 작성해야하는 논문들과 학술발표.. 이것들은 대학원생들에게 늘 따라다니는 그리고 반드시 부딪혀야 하는 숙제이기 때문이다. 어릴적부터 나에게 있어서 숙제란? 그것을 이행하지 않았을때 처벌에 대한 공포를 주는 대상이자 그것을 잘 이행했을 때 나를 발전시켜주는 고마운 존재였다. 동일하게 지금 늦은 공부를 이어가는 동안에도 글을 쓴다는 것은 나에게 숙제와도 같았다... (줄임)...

 음..어쨌거나, 서론을 길게 써서 이 책을 꼭 사거나 읽으라 하는것은 블로그에서 해서는 안되는 멍청한 짓이기에 그냥 간단하게, 즉각적으로 실행이 가능하도록 (공대스럽게) 그 행동방법과 내가 깨달은 바를 아래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왜 결론부터 써야하는가?


저자는 잠정적인 결론부터 쓰고 (다이아몬드의 형태) 그리고 거기에 대한 이유를 대강 써놓고 글을 쓰기를 권장한다.이는  우리가 그동안 배운 관행적인 글짓기와는 반대의 개념이다. 왜 중요한지 아래에 정리해 보았다.


  (1) 저자의 입장에서 글쓰기가 편하다.

    글의 논리가 일관성이 있다. 뼈대가 잡히고 쉽게 앞으로 돌아가 수정이 가능하다. 논리적인 사고가 생긴다. 이는 논리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만든다.

 

  (2) 독자의 입장에서 글을 읽기에 편하다.

  글의 전체 구조를 쉽게 알수있다. 이해가 빠르게 된다.  (3) 우리의 두뇌가 원하는 방식이다. 인간의 두되는 계층화를 좋아하고 이를 통해 이해도가 40% 이상 향상될 수 있다.. 


(4) 잠정적인 결론과 이유를 먼저 진술함으로써, 그 틀안에서 자신의 생각을 매우 빨리 써내려갈수있고 그 이후의 구상, 자료조사, 개요작성 등의 작업들이 논리적인 틀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좋은 글이 된다.


2. 결론부터 쓴다는 것은 어떻게 쓰는 것인가?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여 자신의 생각을 글로써 전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1) 독자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저자의 생각을 전달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다.

     : 지식의 저주와 같이 독자의 지적 능력을 과대평가하여 연관성이 부족한 이야기를 마구 뱉는 것을 지양한다.

 (2) 자세하고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야한다. 독자가 이미 알고있는 내용을 말하는것을 피한다.

     : 독자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3) 저자는 주장에 따른 강력한 이유를 제시하여 독자의 궁금증과 의심을 해소시킨다. 

     : 이야기에 대한 근거와 논리가 명확해야 한다. 


3. 그럼 나쁜 글짓기. 즉 관행적 글짓기라는 것은 무엇인가?

 기존에 우리가 배웠던 관행적인 글짓기는 머리속의 생각을 복사하여 완성된 글을 한번에 써내려 가는 방식이다. 즉, 결론을 가장 마지막에 작성하는 글짓기방식 이다.  (아래의 순서를 따른다)

  (1)글의 주제선정 (2) 글의 흐름 구상 (3) 자료조사 (4) 개요와 목차 작성 (5) 글짓기 (6) 결론 

또한, 자신의 생각을 어떻게 구성해야하고 전달해야하는 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화려하고 명쾌한 문장을 만드는 방법에만 초점을 맞춘 글짓기이다. *독자를 고려하지 않는다. 자신을 나타낼 뿐이다. 

 중요한 내용을 계속해서 가르쳐주지 않고 결론쪽으로 미루기만 한다. 초점을 일부러 흐리게 하여 자신의 논리 구조를 독자가 파악할수 없게 만들고 평가하지 못하게 만든다. => 독자를 화나게 만든다. 


4. 저자가 주장하는 다이아몬드 글짓기란 무엇일까?


(1) 자료조사 이전에 잠정적 결론을 먼저 써라

 좀더 조사해보고 확실한 결론을 내자 라는 충동을 과감히 버리고 먼저 결론과 이유들을 한문단 으로 써라. 이는 글쓰기의 독창성과 논리성,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를 한다. 이는 "직관적인 아이디어 = 아이디어의 원석 = 잠정적인 결론" 가 효율적인 글쓰기의 출발점이 된다는 의미이다. 눈앞에 보이는 결론을 통해서 수시로 토론이 가능하다. 


(2) 가장 중요한 것을 앞에, 그 뒤에 중요한 순서대로 작성하라.

서론을 통하여 독자들은 왜 글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얻는다. 즉, 서론만 통해서도 독자들은 글의 핵심주장과 근거, 본문의 전개 순서를 알아야 한다.

본론은 서론에서 기술한 전개순서에 따라서 자세히 진술하면 된다. 하지만, 단순 진술이 아니라, 각 문단의 첫문장에 그 문단의 핵심 내용을 적음으로써 독자들이 바로 그 문단의 내용을 파악하도록 해야 한다. 

결론은 본론의 이유들을 하나씩 요약하면서 최종적으로 한번더 주장을 이야기 하는 부분이다. (재확인)


(3) 잠정적인 결론을 작성한 후, 글을 쓰면서 계속해서 서론과 잠정적 결론을 수정하라.

글을 쓰는 과정에서 새로운 내용을 깨닫기 때문에 계속해서 서론, 본론, 결론을 수정해야 한다. 글을 쓰는 중에 계속되는 브레인 스토밍과 자료조사와 토론이 계속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유입시키고 이는 계속해서 글을 수정하게 만들고 이는 결국 논리적인 글짓기가 되도록 한다. 절대 망설이지 말고, 잠정적인 결론과 그 이유들을 계속해서 고쳐야 한다. = 육아와 비슷

따라서, "다이아몬드 글짓기란 프로토타이핑 방식이다."


** 바바라 민토의 논리의 기술이라는 저서에서는 민토 피라미드 원칙을 주장했다. 

  이해하기 쉬운 글은 먼저 전체를 요약한 생각을 서술한 다음에 개별적인 생각을 하나씩 설명한다. (즉, 결론부터 말한다) 생각의 전달 순서를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필자가 무엇에 대해 말 할 것인지 미리 알려주지 않으면 독자는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글 속에 표현되지 않은 부분을 스스로 노력해서 생각해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글을 쓸 때는 핵심을 먼저 말한 후에 부수적인 사항을 거론하는 형태로 전개해야 한다. 


5. 다이아몬드 글쓰기의 7가지 원칙


(1) 하나의 중심개념을 잡아라

글쓰기는 하나의 중심 개념을 전달하는 작업이다. 두개의 중심개념이 있다면 초점을 잃는다. 하위글들도 각각의 하나의 중심 개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만약 하나가 어렵다고 차라리 두개의 글을 써라. 그래서 이를 순서화 시켜서 중요한 순으로 전달해야 논리가 정연해진다. 


(2) 문단까지도 결론부터 써라

"문단이란 생각의 단위이다." 글은 문단 단위로 작성해야 한다. 글쓰기에서 생각이 바뀌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문단을 나눈다. 문단의 첫 문장에 주제 문장=결론 을 담아야 독자들이 쉽게 이해한다. 또한, 장과 절도 결론부터 써라.


(3) 결론을 차별화하라

독자의 고정관념과 예상을 뛰어넘는 결론을 만들어라. 상식에서 멀어질수록 독자의 관심을 끌수가 있다.

차별화를 위해서는 주제를 좁혀나가라. 결론이 일반적이지 않게 만들기 위해서는 주제가 좁혀져야 한다. 두번째로 분석보다는 행동이 가능한 즉, 행동 변화를 담은 차별화된 결론을 제시하라. 세번째로 솔직한 자신의 생각을 써라. 


(4) 원칙에 따라 구조화하라

윈칙에 따른 글의 전개를 통해서 논리적인 글을 써라. 이는 구조화이며,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논리적인 순서를 부여하여 글을 쓴다는 것이다. = 생각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쓴다는 뜻.  독자가 공감할 수 있는 원칙에서 출발하라. 


(5) 중요한 순서대로 써라

글을 쓸때 독자의 입장에서 중요한 순서대로 글을 작성함으로써, 논리적으로 글짓기가 가능하다. (순서에 민감하라)

특히, 가장 중요한 내용을,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글의 맨위로 올려라. 


(6) 구체적으로 생생하게 써라

조지프 퓰리쳐의 말 : "그림같이 써라. 그러면 기억 속에 머물 것이다."

멋드러지게 쓰라는 뜻이 아니다. 고사성어를 인용하라는 것도 아니다.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고 추상적인 내용은 과감히 삭제하라. 독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 구체적으로 쓰고 복잡한 내용은 빼라. 


(7) 문장을 짧게 써라

접속사는 되도록 빼고 짧게 말하는 형태로 써라. 긴글은 내용의 파악이 어렵다. 짧아야 읽기도 쉽고 쓰기도 쉽다. 말하는 방식으로 쓰면 짧고 간격하게 이해 될 수 있다.



책의 저자는 매우 간결하게 자신의 주장을 전달했다. 이를 소화하고 사용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겠지만, 나에겐 그간 고민해오던 글쓰기의 불퉁명한 어려움들을 명확하게 알수있게 해준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하여 더욱 의미있고 독자에게 명확히 전달되는 글을 쓰겠다. 




+ Recent posts